티스토리 뷰

반응형

🤔 의사결정과 관련된 원가, 이젠 확실히 정리하자

관련원가, 기회원가, 매몰원가, 회피가능원가… 다 헷갈린다면 이 글이 해답!


🎯 1. 핵심 개념 먼저 정리합니다

경영 의사결정이란 “어떤 대안을 선택하느냐”의 문제입니다.
이때 중요한 건 “과거에 쓴 돈”이 아니라,
앞으로 어떤 선택을 하면 어떤 원가가 발생하고, 어떤 기회를 잃는가입니다.

"앞으로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원가"만이
의사결정에 관련 있는 원가입니다.



🧩 2. 자주 등장하는 원가 개념 총정리

분류 정의 의사결정에 영향 여부
관련원가 특정 의사결정에 따라 미래에 실제로 달라질 수 있는 원가 ✅ 있음
비관련원가 어떤 대안을 선택하든 이미 정해진 고정적 원가 ❌ 없음
매몰원가 이미 발생한, 돌이킬 수 없는 과거 원가 ❌ 없음
기회원가 어떤 선택으로 인해 포기하게 되는 대안의 기대수익 ✅ 있음 (비용은 아님)
회피가능원가 특정 선택을 하지 않으면 발생을 피할 수 있는 원가 ✅ 있음
차액(증분)원가 대안 간 원가 차이 → 선택에 따른 추가 부담/절감 ✅ 있음

반응형

 





✅ 3. 원가 개념별 설명과 예시

🔹 관련원가 (Relevant Cost)

  • 미래에 실제로 달라질 가능성이 있는 원가
  • 선택에 따라 원가가 달라진다면 → 의사결정에 관련 있음

📌 예시

제품 A를 만들면 부품비가 1개당 5,000원 발생
제품 B를 만들면 그 부품이 필요 없음
→ 이 부품비는 제품 선택에 따라 달라지므로 관련원가




🔹 비관련원가 (Irrelevant Cost)

  • 어떤 대안을 선택해도 변하지 않는 고정 원가

📌 예시

공장 임대료: 제품 A를 만들든 B를 만들든 매월 500만 원
이미 확정된 고정비는 선택과 무관 → 비관련원가




🔹 매몰원가 (Sunk Cost)

  • 이미 지출한 돈, 돌이킬 수 없는 과거 비용
  • 아무리 아까워도 앞으로의 결정에 영향을 주면 안 됨

📌 예시

작년에 1억 들여 개발한 기계가 있음
지금 그걸 쓸지 말지 결정 중
→ 1억은 이미 지출된 과거의 원가매몰원가 → 의사결정 시 무시해야 함




🔹 기회원가 (Opportunity Cost)

  • 선택하지 않은 대안이 가져다줄 수 있었던 기대이익
  • 실제 지출은 아니지만, 합리적인 판단을 위해 고려해야 함

📌 예시

공장을 임대하면 1년에 2,000만 원 벌 수 있음
그런데 그 공장을 내가 직접 사용한다면?
임대 수익 2,000만 원이 기회원가 → 내가 선택한 대안의 간접적인 비용




🔹 회피가능원가 (Avoidable Cost)

  • 어떤 선택을 하지 않으면 피할 수 있는 원가

📌 예시

특정 제품을 생산하면 매월 200만 원의 유지비 발생
그 제품 생산을 중단하면 유지비도 사라짐
→ 유지비는 회피가능원가
회피가능원가는 의사결정에 매우 중요




🔹 차액원가 / 증분원가 (Differential / Incremental Cost)

  • 대체안 간 원가의 차이
  • 비교 대상 간 추가로 부담되는 원가를 파악

📌 예시

A안: 총원가 100만 원
B안: 총원가 120만 원
차액원가 = 20만 원 (B가 더 비쌈)
→ 이 20만 원이 증분 원가




🔍 4. 의사결정에서 매몰원가를 무시해야 하는 이유

사람들이 가장 실수하는 개념이 바로 매몰원가입니다.
이미 돈을 써서 아까운 건 이해되지만,

아까워도 돌이킬 수 없는 돈은 판단에 넣으면 안 됩니다.

예를 들어,

  • “1억 들여 만든 기계를 안 쓰면 손해 아닌가요?”
  • 아니요. 그 1억은 이미 썼고,
  • 지금 쓰는 것이 미래에 더 손해라면 안 써야 합니다.



반응형

 


📌 5. 정리 요약표

원가 개념 핵심 특징 의사결정 반영 여부 예시 요약
관련원가 대안에 따라 달라지는 미래 원가 ✅ 있음 부품비, 추가 인건비 등
비관련원가 대안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발생 ❌ 없음 고정 임대료, 감가상각
매몰원가 이미 지출한 과거 원가 ❌ 없음 개발비, 설비 투자비
기회원가 포기한 대안이 가져올 수익 ✅ 있음 (간접적) 임대 수익, 투자수익
회피가능원가 특정 선택을 안 하면 피할 수 있는 원가 ✅ 있음 유지비, 계약비
차액(증분)원가 선택안 간 원가 차이 ✅ 있음 A안-B안 총원가 차




✍️ 마무리

  • 의사결정에 중요한 것은 앞으로 바뀔 수 있는 원가입니다.
  • 이미 써버린 돈(매몰원가)이나 항상 드는 고정비(비관련원가)는 과감히 무시하세요.
  • 대신, 기회원가·관련원가·회피가능원가를 놓치지 말고 비교하세요.
📌 실전에서는 숫자보다 개념 정리가 더 중요합니다.
이 원가들이 어떻게 미래 결정을 바꾸는지를 정확히 보는 눈을 기르세요!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