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프레이밍 효과: 왜 같은 선택도 다르게 보일까?
💡 같은 상황도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우리의 선택이 달라질 수 있다면?
우리는 매일 선택을 합니다. 점심 메뉴를 고를 때, 보험 상품을 비교할 때, 심지어 정치적 의견을 결정할 때도 다양한 정보에 영향을 받죠. 하지만 흥미로운 점은 같은 정보라도 표현 방식(프레이밍)에 따라 우리의 선택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현상을 설명하는 것이 바로 프레이밍 효과(Framing Effect)입니다. 오늘은 심리학자 Tversky & Kahneman(1981)의 연구를 바탕으로 프레이밍 효과가 우리의 선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같은 선택, 다른 결정: "아시아 질병 문제 실험"
심리학자들이 진행한 아시아 질병 문제(Asian Disease Problem) 실험을 살펴볼까요?
🦠 실험 상황:
미국이 희귀한 질병에 직면해 있으며, 600명의 목숨이 위태롭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 상황에서 정부는 두 가지 대책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 첫 번째 그룹(이득 프레임)에게는 이렇게 질문했습니다.
A 대책: 200명을 확실히 살릴 수 있습니다.
B 대책: 1/3 확률로 600명이 모두 살고, 2/3 확률로 아무도 살지 못합니다.
👉 결과: 다수(72%)가 A(확실한 생존 200명)을 선택했습니다. 즉, 사람들이 확실한 이득을 선호하는(위험 회피적 선택) 경향을 보였습니다.
💡 두 번째 그룹(손실 프레임)에게는 같은 상황을 다르게 표현했습니다.
C 대책: 400명이 확실히 죽습니다.
D 대책: 1/3 확률로 아무도 죽지 않지만, 2/3 확률로 모두 사망합니다.
👉 결과: 다수(78%)가 D(위험을 감수하는 선택)을 했습니다. 즉, 사람들이 확실한 손실을 피하려는(위험 감수적 선택) 경향을 보였습니다.
🔍 결론:
같은 의미의 선택이지만 "살릴 수 있다"는 이득 프레임과 "죽을 것이다"라는 손실 프레임에 따라 사람들의 선택이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2️⃣ 왜 이런 일이 일어날까? - 전망이론(Prospect Theory)
심리학자 Kahneman과 Tversky는 이를 설명하기 위해 전망이론(Prospect Theory)을 제안했습니다.
📌 전망이론의 핵심 원리
✅ 손실 회피(Loss Aversion)
- 같은 크기의 이득보다 손실을 더 크게 느낀다.
- 예: 10만 원을 얻는 기쁨보다, 10만 원을 잃는 고통이 더 강하다.
✅ 위험 회피(Risk Aversion) vs. 위험 감수(Risk Seeking)
- 이득이 강조될 때 → 사람들은 안전한 선택을 한다.
- 손실이 강조될 때 → 사람들은 더 큰 위험을 감수한다.
3️⃣ 실생활에서의 프레이밍 효과 예시
💡 예제 1: 백신 효과 발표 방식
- 이득 프레이밍: "이 백신은 감염을 90%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손실 프레이밍: "이 백신은 감염될 확률이 10%입니다."
👉 첫 번째 문장은 신뢰감을 주지만, 두 번째 문장은 불안감을 줍니다.
💡 예제 2: 다이어트 제품 광고
- 이득 프레이밍: "이 제품을 사용하면 10kg 감량이 가능합니다!"
- 손실 프레이밍: "이 제품을 사용하지 않으면 체중 감량이 어려울 것입니다."
👉 두 번째 문장은 다이어트를 하지 않으면 손해를 볼 것 같은 느낌을 줍니다.
💡 예제 3: 마케팅에서의 가격 표시
- 이득 프레이밍: "지금 가입하면 20% 할인!"
- 손실 프레이밍: "내일부터 가격이 20% 인상됩니다!"
👉 사람들은 할인보다 가격 인상에 더 큰 반응을 보입니다.
4️⃣ 우리가 프레이밍 효과에 속지 않으려면?
✅ 프레임을 바꿔서 생각해 보기
- "이건 이득 프레임인가? 손실 프레임인가?"
- 같은 정보를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면 어떻게 보일까?
✅ 객관적인 숫자와 사실을 확인하기
- 광고나 정책 설명에서 실제 데이터와 표현 방식의 차이를 인식하기.
✅ 감정적 반응보다 논리적으로 분석하기
- "내가 감정적으로 반응하고 있는가?"
-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면 내 판단이 달라질까?"
결론: 정보는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프레이밍 효과는 우리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을 바꾸어 놓습니다.
우리는 같은 상황에서도 어떻게 표현되느냐에 따라 다른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 "이건 어떻게 프레이밍된 정보일까?" 라는 질문을 스스로 던진다면,
프레이밍 효과에 휘둘리지 않고 더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입니다.
📢 이제, 여러분은 프레이밍 효과를 이해했으니 실제 상황에서 이를 어떻게 적용할지 고민해 보세요!
'논문 리뷰 > 1일1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규범 이론(Norm Theory, Kahneman & Miller, 1986) (0) | 2025.02.22 |
---|---|
휴리스틱과 불확실성 (1) | 2025.02.18 |
전망이론(Prospect theory) (1) | 2025.02.12 |
Neural activity predicts attitude change in cognitive dissonance. (0) | 2024.03.23 |
On the motivational Nature of Cognitive dissonance (2) | 2024.03.19 |
- Total
- Today
- Yesterday
- EBS
- 데이터분석
- C
- 윤성우
- Python
- 여인권
- 회계
- 사회심리학
- 인지부조화
- 일본어
- 심리학
- 티스토리챌린지
- 통계학
- 인프런
- 류근관
- stl
- C/C++
- 코딩테스트
- 정보처리기사
- 보세사
- 일문따
- jlpt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파이썬
- 오블완
- 백준
- c++
- K-MOOC
- 열혈프로그래밍
- 뇌와행동의기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