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종합원가계산의 네 가지 방식 – 1회차: 단일 & 조별
1. 단일종합원가계산 (Single Process Costing)
📌 개념
단일종합원가계산은 하나의 공정에서 하나의 제품만을 반복적으로 생산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식입니다. 전체 생산량에 대한 총원가를 기준으로 평균 단위당 원가를 계산합니다.
📌 왜 쓰는가?
동일 제품을 대량 생산하면서 단위당 원가 산정이 필요하고, 제품별 개별 추적이 비효율적일 경우 전체 평균원가로 처리합니다.
📌 사용하는 이유
- 제품이 전부 동일하므로 개별 단위 원가 계산이 불필요함
- 단순한 공정 구조에 적합
- 자료 수집과 관리가 용이함
📌 장단점
구분 | 내용 |
---|---|
장점 | 계산이 단순하고 명확함, 자료 수집 용이, 표준 단가 계산 가능 |
단점 | 단일공정·단일제품 상황에만 사용 가능, 비정상손실 고려 어려움 |
📌 예시
- 시멘트 제조업
- 정수기 생수 생산
- 설탕 정제
2. 조별종합원가계산 (Batch Process Costing)
📌 개념
조별종합원가계산은 제품을 일정한 단위(batch)로 생산하는 경우에, 조 단위로 원가를 집계하고 평균 단가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 왜 쓰는가?
반복적이지만 일정 단위로 생산되어 각 배치별 원가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조 단위 분석이 필요합니다.
📌 사용하는 이유
- 조별로 생산 조건이 다르므로 원가 차이 분석 필요
- 조별 수익성과 품질 통제가 가능
- 공정 통제에 유리
📌 장단점
구분 | 내용 |
---|---|
장점 | 조 단위로 수익성 분석 가능, 품질관리 유리 |
단점 | 조마다 자료 추적 필요, 계산 복잡성 증가 |
📌 예시
- 빵 공장: 200개씩 구워서 판매
- 의류 제조업: 특정 디자인 100벌씩 생산
- 전자 부품 조립
단일 vs 조별 방식 요약 비교
항목 | 단일종합원가계산 | 조별종합원가계산 |
---|---|---|
생산 방식 | 연속적, 완전히 동일 | 반복적, 일정 묶음 단위 |
원가 집계 | 전체 생산량 기준 | 조(batch)별 집계 |
복잡도 | 낮음 (가장 단순) | 중간 |
원가 통제 | 제한적 | 조 단위로 정밀 분석 가능 |
적용 예시 | 생수, 설탕, 시멘트 | 빵, 의류, 배치 조립 |
종합원가계산 – 공정별 & 등급별 방식
3. 공정별종합원가계산 (Process-wise Costing)
📌 개념
제품이 여러 공정을 거쳐 완성되는 경우, 각 공정별로 원가를 구분하여 집계하고, 단계별로 누적하는 방식입니다. 각 공정에서 투입되는 자원과 발생 비용을 명확히 나누어, 최종 제품의 원가를 구성합니다.
📌 왜 쓰는가?
연속적인 공정에서 제품이 점진적으로 완성되므로, 어느 공정에서 원가가 집중되는지를 알아야 원가 통제와 생산 효율 분석이 가능합니다.
📌 사용하는 이유
- 공정별 원가 누적 필요
- 비용 과다 공정 식별 가능
- 재공품, 폐품, 감모 등 공정별 처리 필요
📌 장단점
구분 | 내용 |
---|---|
장점 | 공정별 비용 식별 가능, 생산 효율 개선에 유리 |
단점 | 단계별 자료 수집과 이전 계산 필요, 복잡성 증가 |
📌 예시
- 제지공장: 펄프 → 압착 → 절단
- 자동차: 차체 → 도장 → 조립 → 검사
- 제약 제조: 정제 → 포장 → 라벨링
4. 등급별종합원가계산 (Grade-wise Costing)
📌 개념
동일한 공정을 통해 생산된 제품이 품질 또는 등급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뉠 때, 각 등급에 합리적으로 원가를 배분하는 방식입니다. 평균 원가에서 시작하여, 등급 간 수율이나 가치 비율에 따라 원가를 재배분합니다.
📌 왜 쓰는가?
같은 재료와 공정을 사용했더라도 결과물이 서로 다른 품질로 나뉘면, 등급별로 정확한 원가 배분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수익성 판단과 가격 전략 수립이 가능해집니다.
📌 사용하는 이유
- 제품이 등급별로 차등 판매됨
- 전체 평균단가로는 실제 수익성 파악이 어려움
- 등급별 손익관리 필요
📌 장단점
구분 | 내용 |
---|---|
장점 | 실제 가치에 맞는 원가 배분, 정확한 수익성 평가 가능 |
단점 | 등급 기준과 가치 기준 설정이 어려움, 배분 논란 가능 |
📌 예시
- 철강재: A등급, B등급, C등급
- 농산물: 특, 상, 중, 하품
- 어류 가공: 특대형, 대형, 중형
공정별 vs 등급별 방식 요약 비교
항목 | 공정별종합원가계산 | 등급별종합원가계산 |
---|---|---|
기준 | 생산 단계(공정) 기준 | 완성물의 품질 기준 |
원가 흐름 | 단계별 누적 집계 | 전체 평균 → 등급 기준으로 배분 |
적용 대상 | 연속 공정 산업 | 품질 차등 제품 생산 |
복잡도 | 높음 (공정 수에 비례) | 중간~높음 (기준 설정 난이도) |
예시 | 제지, 자동차, 제약 | 철강, 농산물, 어류 |
'자격증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액과 총액의 차이란 무엇인가? (0) | 2025.04.16 |
---|---|
기타의 대손상각비 (0) | 2025.04.16 |
보조부문원가의 배부기준과 계정과목 (0) | 2025.04.14 |
제조원가에 포함되는 계정과목 (0) | 2025.04.14 |
통제가능원가 vs 통제불능원가 (0) | 2025.04.14 |
- Total
- Today
- Yesterday
- 회계
- 강화학습
- 통계
- 열혈프로그래밍
- 뇌와행동의기초
- 오블완
- 심리학
- 보세사
- C
- 일문따
- K-MOOC
- 파이썬
- 여인권
- 정보처리기사
- 인지부조화
- 사회심리학
- 티스토리챌린지
- stl
- Python
- 류근관
- 데이터분석
- 코딩테스트
- 윤성우
- 백준
- 통계학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C/C++
- 일본어
- 인프런
- c++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