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보조부문원가의 배부기준


1️⃣ 보조부문과 보조부문원가란?

보조부문은 제품을 직접 생산하지는 않지만, 생산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공무부(설비 관리), 전력부(전기 공급), 자재부(창고 운영), 복리후생부(식당, 통근버스)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부서에서 발생하는 간접비용을 보조부문원가라고 하며, 이는 최종적으로 제조부문에 배부되어야 제품원가에 반영됩니다.


2️⃣ 왜 보조부문원가는 배부해야 하는가?

보조부문은 제품을 직접 만들지는 않지만, 직접 생산 부서가 원활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전력부가 없으면 기계는 작동하지 않고, 자재부가 없으면 재료가 공정으로 이동할 수 없습니다.

이처럼 보조부문은 제조부문의 생산성을 뒷받침하기 때문에, 그 원가는 제품 원가에 포함되어야 공정한 계산이 이루어집니다.


3️⃣ 배부기준이란?

배부기준은 보조부문원가를 각 제조부문에 어떻게 나눠서 부담시킬지를 정하는 기준입니다.

좋은 배부기준은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 인과관계 기반: 실제 자원 소비에 따라야 함
  • 측정 가능성: 수치로 계량 가능해야 함
  • 공정성: 부서 간 수용 가능한 기준일 것
  • 일관성: 기간 간 비교 가능성 유지

4️⃣ 대표적인 보조부문별 배부 기준

보조부문 일반적 배부 기준 설명
전력부 기계사용시간, 전력사용량 부서별 소비한 전기량 기준
공무부 기계대수, 정비시간 설비 수 또는 정비 건수 기준
자재부 자재출고건수, 물량 재고 이동량 기준
복리후생부 인원수, 급여총액 종업원 수 또는 복지비용 규모 기준
청소/경비부 부서 면적, 이용횟수 공간 규모나 사용 빈도 기준

5️⃣ 예시: 간단한 배부 비율 계산

보조부문 제조부문 A 제조부문 B 배부 비율
전력사용량(kWh) 3,000 2,000 A: 60%, B: 40%
정비건수 20 30 A: 40%, B: 60%
자재출고량 100건 200건 A: 33.3%, B: 66.7%

6️⃣ 요약 정리

항목 내용
보조부문 직접 생산은 하지 않지만 제조활동을 지원하는 부서
보조부문원가 보조부문에서 발생한 간접비용
배부 이유 제품원가에 간접비를 공정하게 포함하기 위해
배부 기준 기계시간, 전력량, 인원수, 자재건수 등 실사용 기반 지표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