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nderson, C. A., Lepper, M. R., & Ross, L. (1980). Perseverance of social theories: The role of explanation in the persistence of discredited inform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6), 1037. 1. 서론 인간은 모든 정보에 대해 접근할 수 없는데 어떻게 한 믿음을 잘 간직하고 있을까?필자는 그래서 두 가지 물음이 있다.1) 원래 믿던 믿음이 반박되더라도 자신의 원래 믿음을 갖는 것인가?2) 이유를 만드는 것이 자신의 믿음을 더 오래 지속되게 하는가? 2. 실험 2-1. 실험1 1) 피실험자는 소방관의 위험선호도와 직업..

Balleine, B. W., & Dickinson, A. (1998). Goal-directed instrumental action: contingency and incentive learning and their cortical substrates. Neuropharmacology, 37(4-5), 407-419. 1. Introduction 동물의 생존에 있어 학습과 예측은 필수적이다. 어디에 자원(먹이)이 있는 줄 알아야하고, 적의 기습에 대비할 수 있다. 파블로프의 S-R반응은 자극이 있으면 반응이 있다고 한다.이는 동물이 인과관계를 모르고 그냥 반응만 한다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동물은 인과관계를 알고 행동을 한다.이 점이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와 스키너 이후의 조작적 조건화의 차이점이다. 고전..
Everitt, B. J., & Robbins, T. W. (2005). Neural systems of reinforcement for drug addiction: from actions to habits to compulsion. Nature neuroscience, 8(11), 1481-1489. 강화학습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고 한다. 고전적 조건형성 조작적조건화 학습 습관화 목표지향 모델 모델프리 모델베이스 모형 Stimulus - Response Action - Outcome 그렇다면 약물 중독은 왜 일어날까? 하나의 설명은 약물의 성분(암페타민, 코카인)이 보상이 되고, 약을 흡입하는 행위는 조건자극이 되는 것이라 하는 것 같다. 고전적 조건형성에 기여하는건 측좌핵인 것 같다. 그 중에서 ..

Schultz, W., Dayan, P., & Montague, P. R. (1997). A neural substrate of prediction and reward. Science, 275(5306), 1593-1599. 보상은 조작적 정의로서 물체, 행동, 또는 내적상태에 대해 생물들이 갖는 정적 가치이다. 보상이 학습에 필요한데, 조작적 조건화 실험을 생각해보자.우리가 아는 파블로프의 개의 실험에서 종소리와 함께 먹이를 주자 종소리만 들어도 침을 흘리게 되었다.이 때, 먹이는 무조건자극(Uncoditional stimulus)이다. 이것만으로 무조건 침을 흘리게 할 수 있다.반면, 종소리는 조건자극(conditional stimulus)이다. 중립자극으로서 이것만 있으면 침을 흘리지는 않는다. 이..

Thaler, R. H. (2008). Mental accounting and consumer choice. Marketing Science, 27(1), 15-25. 1. Introduction 1). 한 남자와 여자는 낚시를 가서 연어를 잡았다. 그들은 이를 포장해서 항공편으로 집으로 보냈으나 도중에 분실되었다. 항공사에서 300달러를 받았다. 그들은 외식을 나가 225달러치 밥을 먹었다. 그들은 이전에는 이렇게 비싼 음식을 먹은 적이 없었다. 2) 포커게임에서 한 남자 X는 50달러를 벌었고, 퀸 플래시를 갖고 있어 10달러를 배팅했다. Y라는 사람은 IBM의 주식을 갖고있고 가격이 1/2이 됐다. Y는 킹플래시를 갖고 있음에도 배팅하지 않고 포기했다. 그리고 '내가 50달러를 벌었다면 나도 배팅을..

Gino, F., & Flynn, F. J. (2011). Give them what they want: The benefits of explicitness in gift exchange.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7(5), 915-922. Give them what they want: The benefits of explicitness in gift exchange 선물을 줄 때, 우리는 직접 물어보고 주는 사람도 있지만, 타인이 무엇을 좋아할지 선물을 주는 사람이 있다. 심지어 깜짝 선물처럼 자신이 상대의 취향을 맞춰서 선물을 줘야 더 좋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이 연구를 보면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5가지의 실험을..

Constraining Theories of Embodied Cognition Arthur B. Markman and C. Miguel Brendl University of Texas and INSEAD, Fontainebleau, France 논문 주제 인간에게 체화된 인지라는 것이 있다. 몸이 반응하는데 자신쪽에는 긍정적인 단어일 때 반응하고, 타인쪽에는 부정적인 단어일 때 빠르게 반응한다. 그러나 자신이라는 것이 물리적 자신이 아니라 자기가 자신이라 느끼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자신의 이름이나 이런 것들을 자신으로 표상할 수 있다. 자신의 표상을 자신의 육체인지 이름인지 혹은 다른 것인지에 두느냐에 따라 이 반응 속도가 달라진다. 입에 펜을 물고 있으면 만화 등을 더 재밌게 평가한다는 내용을 보았을 ..

Promotion or Prevention Messaging?: A Field Study on What Works When You Still Have to Work Marta Anna Roczniewska1* and E. Tory Higgins2 Sunday trade ban in Poland :폴란드에서 노동자를 쉬게하려고 일요일에 거래를 못하게 하는 법 이 법에서 몇 가지 노동자 부류가 생긴다 1) 예전에는 일했지만, 법으로 인해 지금 쉬는 노동자 2) 예전에도 일했고, 지금도 일하고 있는 노동자 2)번의 노동자는 non-gain 상태가 된다. 예전에도 일했고 지금도 일해서 차이가 없어보이지만, 실제로는 불공정성을 지각하게 될 것이다. 이 non-gain condition에서는 promtion foc..
- Total
- Today
- Yesterday
- 일본어
- 강화학습
- C
- 통계
- 여인권
- C/C++
- 정보처리기사
- 일문따
- 통계학
- K-MOOC
- 회계
- c++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인지부조화
- 류근관
- 사회심리학
- 오블완
- 인프런
- 파이썬
- 코딩테스트
- stl
- 데이터분석
- 열혈프로그래밍
- Python
- 백준
- 티스토리챌린지
- 뇌와행동의기초
- 심리학
- 윤성우
- 보세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