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에는 '상당어구'라는 것이 있다. '모양은 다르지만 같은 기능을 하는 것' 이런 것들을 상당어구라 한다. 구와 절은 품사 자체가 명사, 형용사, 부사 등은 아니지만 그와 같은 역할을 한다. 좀 더 나누어보면 구: 단어+단어 절: 주어+동사의 문장 형태 I think that he is smart 이런 문장이 있다고 하면, I think (that he is smart) 주어 동사 명사절 that he is smart라는 것 자체가 하나의 명사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이런 것들을 사용하는 것인가? 이유는 심플하다. '새로운 단어를 만들지 않고 기존의 단어를 활용해 말을 하고 싶은 것이다.' 예를 들어보자. 영어에 '먹다'라는 단어는 있지만, '먹는 것'이라는 단어가 있는가? 영어에 '먹다'라는..

1형식이 주어와 자동사를 쓰는 것이라면, 2형식은 간단히 말하면 주어와 2형식 동사를 쓰는 것을 말한다. 2형식 동사란 무엇인가? 네이버 사전에 look을 쳐보면 자동사와 타동사 외에 linking verb(연결 동사)라는 것이 나온다. 이게 무엇인지 간단하게 말하면 타동사는 아니지만, 목적어가 아닌 보어의 연결성을 갖고 있는 동사를 말한다. I like you라고 하면, like는 '~을 좋아해'라는 말이며, ~을에 대한 연결성이 남아있기에 '너'라는 말을 채워 나는 너를 사랑해가 되야한다. 그러나 linking verb는 ~가, ~이다 처럼 주어를 설명하는 내용을 연결성으로 취한다. 대표적인 linking verb인 be동사를 보면, I am a student 나는 ~이다. 학생 즉, '~이다' 에서..
영어를 '한국'에서 가르칠 때 하는 것이 문장의 형식이다. 아마 미국인에게 가서 'Do you know 5형식?' 하면 모를 수도 있다. 그럼에도 한국에서 대중적으로 쓰이고 기초적으로 영어를 배우는 데 도움이 되는 면이 있다고 한다. 그렇기에 이를 맹신하지 않으면서, 한국의 5형식을 한 번 배워보자. 1형식이라는 것은, '주어 + 자동사'로 구성된 문장을 말한다. 앞선 파트에서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분에 대해 설명을 했다. https://eunjin123123.tistory.com/488 즉, 자동사라는 것은 목적어를 가질 연결성이 없는 동사이다. 연결성이 없기에 바로 목적어를 취할 수 없다. ex) I go school (X) -> 나는 학교 가다. I go to school (O) -> 나는 학교에 가..

영어의 자동사와 타동사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자동사와 타동사란 무엇인가? 자동사라는 것은 목적어를 취하지 않는 동사이다. 타동사라는 것은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이다. 근데 왜 이것이 영어에서 중요할까? 한국어에는 조사라는 것이 있어서 문장 성분을 이어주지만, 영어에는 조사라는 것이 없다. 동사와 목적어를 이어주려면, 동사에 내재된 연결성이 중요하다. 연결성이 있는 동사가 바로 타동사다. 그림으로 타동사를 보자. 연결성이 있는 동사, 즉 타동사는 바로 목적어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ove라는 동사가 있으면, 이는 그냥 '사랑하다.'가 아니라 '~을 사랑하다'로 외워야 한다는 것이다. 즉 바로 뒤에 목적어(누구를 사랑하는지)가 나올 수가 있다. 그렇다면 자동사는 연결성이 없는 동사라고 할 수 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인프런
- 통계학
- 류근관
- 회계
- C/C++
- K-MOOC
- stl
- 윤성우
- 인지부조화
- 일문따
- 뇌와행동의기초
- 통계
- 정보처리기사
- 데이터분석
- 백준
- 사회심리학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보세사
- 파이썬
- 심리학
- 여인권
- 강화학습
- 티스토리챌린지
- c++
- C
- 코딩테스트
- 일본어
- 열혈프로그래밍
- 오블완
- Pytho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