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본에 영향을 주는 거래, 회계적으로 완벽히 정리하기자본 = 자산 – 부채자본을 바꾸는 건 "이 세 가지"뿐입니다🎯 두괄식 핵심 요약자본에 영향을 주는 거래는 다음 세 가지뿐입니다: 신규 자본 유입 수익과 비용 발생 자본 자체의 감소 (손실, 배당 등)단순히 자산끼리 옮기거나, 부채를 상환하는 것은 자본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자본의 구성 요소자본은 단순히 하나의 숫자가 아니라 다음과 같은 여러 항목의 합입니다. 구성 요소 설명 자본금 주식을 발행한 액면 금액 (보통주, 우선주 등) 자본잉여금 액면 초과금 등 주식 발행과 관련된 초과 납입액 이익잉여금 회사 벌어들인 이익 중 누적된 금액 (배당 전 기준) 기..
💡 사채의 발행, 이자율과 회계처리의 모든 것유효이자율 vs 액면이자율, 할인·할증발행, 발행가와 이자비용까지 완전 정복🏢 1. 사채란 무엇인가요?사채(社債, bond payable)란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투자자에게 발행하는 장기 채권입니다.기업은 사채 투자자에게 약정된 이자(액면이자)를 지급하고, 만기일에 원금을 상환합니다.📌 2. 사채 발행 시 등장하는 두 가지 이자율 구분 액면이자율 (Coupon Rate) 유효이자율 (Effective Rate) 정의 사채계약서에 명시된 이자율 시장(투자자)이 요구하는 실제 수익률 결정 주체 기업(발행자) 시장(투자자 및 수요·공급) 사용 용도 현금이자 계산 발..
🔷 Salt란? — 해커와 암호화의 숨겨진 싸움✅ 1. 들어가며: 왜 같은 비밀번호가 다르면 좋을까?우리가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모든 비밀번호(패스워드)는 서버에 그대로 저장되지 않습니다.해시(Hash)라는 과정을 거쳐서 암호처럼 변환된 형태로 저장됩니다.그런데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철수: 비밀번호 → "apple123"영희: 비밀번호 → "apple123"두 사람의 비밀번호가 같다면, 해시값도 같아집니다.Hash("apple123") → 해시값 A즉, 누가 같은 비밀번호를 쓰는지 해커가 금방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2. 해커의 무차별 공격 — Brute Force & 레인보우 테이블브루트 포스(무차별 대입 공격):모든 가능한 비밀번호를 하나하나 대입해 맞춰봅니다.레인보우 테이블:미리 수많은 비밀번호..
📘 BCNF (Boyce-Codd Normal Form)란?✅ 1. BCNF란?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삽입, 삭제, 갱신 같은 이상(anomaly)을 방지하고,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한 고급 정규형입니다.Boyce와 Codd가 제3정규형(3NF)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제안한 정규형입니다. BCNF는 3NF보다 더 엄격한 조건을 요구합니다. 종속 관계가 더 정제되고, 데이터가 더 깔끔하게 구조화됩니다.✅ 2. 정의 (정확하게)릴레이션 R이 BCNF를 만족하려면,모든 함수적 종속 X → Y에 대해, X는 반드시 R의 후보 키여야 한다. 함수적 종속(X → Y): X의 값이 Y를 유일하게 결정할 수 있음 후보 키: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하는 최소 속성 집합즉, 테이블 내에서 어떤 속성이 다른 속성을 결..
🔍 관계 대수(Relational Algebra)란?데이터를 수학처럼 다루는 질의 언어✅ 관계 대수란?관계 대수(Relational Algebra)는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테이블(=릴레이션)을수학적인 연산을 통해 원하는 데이터를 절차적으로 추출하는 언어입니다.💡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얻을 것인지”→ 순서대로 연산을 적용해서 결과를 만드는 방식🧠 관계 대수의 핵심 특징 항목 설명 ✅ 절차적 언어 연산의 수행 순서를 명시해야 함 ✅ 연산 중심 데이터를 자르고, 골라내고, 합치고 하는 방식 ✅ 입출력 모두 릴레이션 연산에 들어가는 것도, 나오는 것도 테이블 형태 ..
🔐 로킹 단위(Locking Granularity):한번에 쓸 수 있는 범위를 어디까지로 정할까?멀티스레드, 병렬 처리, 데이터베이스...이런 환경에서 자주 듣는 말 중 하나가 바로 "락(Lock)"입니다.공통된 데이터를 여러 작업이 동시에 만지면 충돌이 일어나니까,먼저 쓰는 사람만 쓰도록 잠그는 장치가 필요한 것이죠.그런데 이런 락(lock)을 걸 때 가장 중요한 선택이 있습니다.🔍 “어디까지 잠글까?”이 질문에 대한 답이 바로 오늘 이야기할 로킹 단위(Locking Granularity)입니다.✅ 로킹 단위란?로킹 단위는"한번에 쓸 수 있도록 허용할 범위"를 어디까지로 정할지를 말합니다.조금 더 기술적으로는,락을 통해 보호하는 데이터 범위의 크기입니다.🧃 쉽게 이해하는 비유 – 편의점 냉장고 자..
🧭 형상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란?소프트웨어의 변화와 혼란을 통제하는 핵심 도구소프트웨어 개발을 하다 보면 이런 일이 흔히 벌어집니다."어? 이 기능 어제까지 잘 됐는데 갑자기 안 돼요!""누가 코드 수정했어요?""최신 버전이 뭔가요?""문서랑 실제 코드가 다르네요..."이런 혼란과 오류를 막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 바로 형상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입니다.🧩 1. 형상 관리란 무엇인가요?형상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란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산출물(코드, 문서, 설계 등)의 변경 사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하는 활동을 의미합니다.쉽게 말해, "무엇이, 언제, 왜,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추적하고 통제하는 과정"입니..
🔍 소프트웨어 테스트의 핵심! 검증(Verification)과 확인(Validation)의 차이소프트웨어 테스트에서는 “버그를 찾는 것” 못지않게 중요한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검증(Verification)”과 “확인(Validation)”입니다.이 두 용어는 비슷해 보여도 목적, 시점, 대상, 관점에서 확실한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헷갈리기 쉬운 이 두 개념을 비유와 예시를 통해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먼저 용어 정리부터! 용어영어핵심 질문관점 검증Verification“제대로 만들었는가?”개발자 관점 확인Validation“올바른 것을 만들었는가?”사용자 관점🧠 2. 비유로 이해하기🎂 케이크를 만드는 과정에 비유하면? 검증: 레시피(설계서)를 따라 정확히..
- Total
- Today
- Yesterday
- 통계
- 일문따
- 윤성우
- Python
- 일본어
- 열혈프로그래밍
- C/C++
- 류근관
- 회계
- 파이썬
- 인지부조화
- 사회심리학
- 코딩테스트
- 오블완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stl
- 백준
- 통계학
- 강화학습
- K-MOOC
- 심리학
- 여인권
- 정보처리기사
- c++
- 보세사
- 뇌와행동의기초
- 티스토리챌린지
- C
- 데이터분석
- 인프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