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탈 어카운팅과 소비자 선택: 우리는 왜 돈을 비합리적으로 사용할까?📌 리처드 탈러(Richard Thaler)의 2008년 논문 "Mental Accounting and Consumer Choice" 완전 분석1. 돈을 바라보는 우리의 심리는 합리적인가?✔ "보너스로 받은 100만 원은 쉽게 써버리지만, 월급에서 100만 원을 쓰는 것은 아깝다."✔ "카드 결제는 가볍게 하지만, 현금을 쓸 때는 더 신중해진다."✔ "50만 원짜리 제품은 고민되지만, 70만 원짜리 제품에 20만 원 추가 할인하면 덥석 산다."사람들은 돈을 절대적인 숫자가 아니라 심리적인 기준에 따라 평가한다.전통적인 경제학에서는 모든 돈이 동일한 가치를 가져야 하지만(Fungibility, 상호 교환 가능성), 우리의 뇌는 돈의 출처..
블로그 글: 멘탈 어카운팅(Mental Accounting)이란 무엇인가?- 리처드 탈러(Richard Thaler)의 논문 "Mental Accounting Matters" 분석 -1. 우리는 돈을 합리적으로 사용하고 있을까?경제학 이론에 따르면 돈은 항상 같은 가치를 가지며(fungibility, 상호 교환 가능성), 모든 선택은 논리적이고 최적화되어야 한다.하지만 우리는 종종 이상한 소비 결정을 내린다.예를 들어,✅ "2km 떨어진 마트에서 5천 원 할인하는 상품이 있다면 갈 것인가?" → 많은 사람이 "간다"고 대답한다.✅ "300만 원짜리 노트북을 사면서 5천 원 깎아주는 매장을 2km 떨어진 곳에서 찾았다면?" → 대부분이 "안 간다"고 대답한다.하지만 논리적으로 따지면 두 경우 모두 5천 원..

Thaler, R. H. (2008). Mental accounting and consumer choice. Marketing Science, 27(1), 15-25. 1. Introduction 1). 한 남자와 여자는 낚시를 가서 연어를 잡았다. 그들은 이를 포장해서 항공편으로 집으로 보냈으나 도중에 분실되었다. 항공사에서 300달러를 받았다. 그들은 외식을 나가 225달러치 밥을 먹었다. 그들은 이전에는 이렇게 비싼 음식을 먹은 적이 없었다. 2) 포커게임에서 한 남자 X는 50달러를 벌었고, 퀸 플래시를 갖고 있어 10달러를 배팅했다. Y라는 사람은 IBM의 주식을 갖고있고 가격이 1/2이 됐다. Y는 킹플래시를 갖고 있음에도 배팅하지 않고 포기했다. 그리고 '내가 50달러를 벌었다면 나도 배팅을..
- Total
- Today
- Yesterday
- 보세사
- 열혈프로그래밍
- C
- 회계
- stl
- 여인권
- 사회심리학
- 일문따
- 데이터분석
- 일본어
- 파이썬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강화학습
- 심리학
- 통계
- 인지부조화
- 뇌와행동의기초
- 인프런
- C/C++
- 류근관
- c++
- K-MOOC
- 윤성우
- 티스토리챌린지
- jlpt
- 코딩테스트
- 백준
- 오블완
- 통계학
- Pytho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