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형식은 한국에서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보어 (S + V + O + O.C)의 형태로 설명한다. 주어 동사 외에 목적보어가 목적어를 꾸민다고 한다. 사실 5형식만큼 애매한 것이 없다. 이것은 사실 그냥 동사의 '어법'을 따로 외우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그 종류가 많고 그렇게 규칙성이 뚜렷하지 않기 때문이다. 교과서에 나오는 5형식의 종류(목적보어를 중심으로)를 살펴보자 S + V + O + 명사 S + V + O + 형용사 S + V + O + as S + V + O + to be S + V + O + to v S + V + O + ~ing S + V + O + V 이렇게 다양하다. 즉 크게 근본이 있는 형태라기보다는 각기 다른 어법을 가진 동사들을 그냥 한뭉텅이로 5형식이라는..

한국에서 말하는 3형식이라는 것은 소위 말하면 주어와 타동사로 이루어진 문장을 말한다. 타동사란? https://eunjin123123.tistory.com/488 1. 자동사와 타동사 영어의 자동사와 타동사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자동사와 타동사란 무엇인가? 자동사라는 것은 목적어를 취하지 않는 동사이다. 타동사라는 것은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이다. 근데 왜 이것이 eunjin123123.tistory.com 위에 자세히 써뒀지만, 간단히 말하면 연결성이 있는 동사이다. love라는 동사는 '사랑하다'가 아니라 '을 사랑하다'라고 외우면 된다. 그렇기에 -을에 대한 대상이 반드시 채워줘야 한다. 하지만 자동사는 이런 연결성이 없기에 연결성을 추가하려면 전치사를 사용한다. 3형식의 특징 연결성이 있는데,..
- Total
- Today
- Yesterday
- stl
- 사회심리학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일본어
- 파이썬
- jlpt
- 일문따
- Python
- 통계학
- 열혈프로그래밍
- 통계
- 뇌와행동의기초
- 백준
- 인지부조화
- 코딩테스트
- 여인권
- c++
- 티스토리챌린지
- 데이터분석
- 인프런
- 회계
- 강화학습
- K-MOOC
- C
- 오블완
- 윤성우
- C/C++
- 심리학
- 류근관
- 보세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