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동태란 대상이 주어가 되는 문장을 일컫는다. 이렇게 말하면 알기 어렵기에 예를 들어보자. I hit you (나는 너를 때린다) 여기서의 주체는 I(나)이고 목적어는 you(너)이다. 근데 you의 입장에서 생각하면 떄린 게 아니라 맞은 것이다. 이를 문장으로 표현한 것이 수동태이다. you are hit(넌 맞았다) 주체가 바뀌지만 의미는 같다. 수동태를 만드는 방법은 be를 붙이고 본동사를 p.p(과거 분사) 형태로 바꿔준다. 그렇다면 이런 수동태는 왜 쓰는 것일까? 1) 목적어를 강조하기 위해 2) 대상이 누군지 밝히기 싫어서 3) 대상이 누군지 몰라서 1)을 생각해보자. 뒤에 있던 목적어가 앞으로 나오니 강조됐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2)를 보면 대상이 누군지 말하고 싶지 않을 수 있..

한국에서 말하는 3형식이라는 것은 소위 말하면 주어와 타동사로 이루어진 문장을 말한다. 타동사란? https://eunjin123123.tistory.com/488 1. 자동사와 타동사 영어의 자동사와 타동사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자동사와 타동사란 무엇인가? 자동사라는 것은 목적어를 취하지 않는 동사이다. 타동사라는 것은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이다. 근데 왜 이것이 eunjin123123.tistory.com 위에 자세히 써뒀지만, 간단히 말하면 연결성이 있는 동사이다. love라는 동사는 '사랑하다'가 아니라 '을 사랑하다'라고 외우면 된다. 그렇기에 -을에 대한 대상이 반드시 채워줘야 한다. 하지만 자동사는 이런 연결성이 없기에 연결성을 추가하려면 전치사를 사용한다. 3형식의 특징 연결성이 있는데,..
- Total
- Today
- Yesterday
- 데이터분석
- c++
- 백준
- 보세사
- 사회심리학
- 일문따
- 회계
- 티스토리챌린지
- C
- 통계
- 코딩테스트
- 류근관
- stl
- jlpt
- 파이썬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K-MOOC
- C/C++
- 인프런
- 심리학
- 인지부조화
- 윤성우
- 여인권
- 오블완
- 강화학습
- 열혈프로그래밍
- 뇌와행동의기초
- 일본어
- 통계학
- Pytho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