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엔드시스템들은 ISP를 통해 이어진다. 

ISP는 통신회사들이 아니고 학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교나 이런 기관들을 의미한다.

 

ISP와 ISP는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지역 ISP

국가 ISP

대륙 ISP

이들이 서로 연결되어 인터넷을 제공한다.

 

 

 

1.4 Delay, Loss and Throughput in Packet-Switched Networks

딜레이의 종류

 

1) nodal processing delay

2) queuing delay

3) transmission delay

4) propagation delay

 

-> total delay

 

1) nodal processing 

데이터가 잘 들어왔는지를 체크한다.

비트가 오류가 없는지 체크하고, 패킷에 있는 목적지를 보고 나갈 링크를 결정한다.

 

2) Queuing delay

빠져나가기 전에 자기의 순서를 기다리는 시간.

자기 앞에 있는 패킷의 수에 따라 이 지연시간이 달라진다.

예측불가능한 딜레이다

 

3) Transmission delay

실제 링크를 떠나 지나가는 시간

 

L= 패킷 길이

R= 링크의 bandwidth

d_trans = L/R

 

보내는 양/보낼 수 있는 양

가변적이라기보다는 고정적이다!

 

4) propagation delay

d=링크의 길이

s= 링크를 지나가는 속도

d_prop= d/s

 

throughput: 시간당 보내는 비트의 비율

 

 

[이해도 확인 quiz]
A ----------- N1 --------------- N2 --------------- B
위 그림과 같이 A와 B가 두 개의 라우터를 걸쳐 연결이 되어 있다. 
1) L bytes 크기의 packet을 A에서 전송하기 시작해서 B에 도착하기까지의 지연 시간을 계산하는 데에, 각 전송 단계에서 nodal delay 네 가지 요소들 중 어떤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하는지 적으시오. 즉, A->N1, N1->N2, N2->B 각 단계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모든 것이 고려되어야 한다.
 
2) Nodal delay 네 가지 요소 중에서 가장 가변적인 것이 무엇인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큐잉 딜레이

앞에 뭐가 있을지 모른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