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영어/영문법 정리

12. 문장성분과 품사

키성열 2022. 11. 27. 18:34
반응형

영어에는 문장성분과 품사가 있다.

사람들은 이 둘은 조금 헷갈려하는데, 이는 한국어에서도 있기 때문에 어려워할 필요가 없다.

 

그럼 문장성분과 품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문장성분'은 가변적인 것, 즉 그때 그떄 바뀌며 단어에 종속된 것이 아니다.

'품사'는 고정적인 것, 타고난 것으로 그 단어에 귀속적인 것이다.

 

무슨 말인지 예를 들어 설명해보자.

 

explanation이란 단어가 있다. 이는 '설명'이라는 단어다

 

문장성분을 살펴보면,

 

1) The explanation is not good

여기서 설명은 주어이다.

 

2) I don't understand that explanation

그러나 여기서 설명은 목적어다.

 

이렇게 위치에 따라 바뀌는 것이 문장성분, 즉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 등을 가리킨다.

 

반면에 품사라는 것은 단어가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이다.

explanation은 명사이며, 주어로 쓰일 떄도 명사이고, 목적어로 쓰일 때도 명사이다.

 

물론 하나의 단어가 여러개의 품사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것도 태어날 떄부터 여러개를 갖고 있는 것이지, 위치에 따라 다르게 쓰이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love는 동사도 있고 명사도 있다.

 

그렇다면 이것을 나누는 것이 왜 중요할까?

->특정 문장 성분에는 특정 품사만 쓰일 수 있다.

 

 

문장성분에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자.

기본적으로 영어의 문장은 '주어 + 동사'로 구성된다.

여기서 자동사, 타동사, 연결동사(linking verb) 등이 있다.

잘 모르면 아래를 참조하면 된다.

 

https://eunjin123123.tistory.com/488

 

1. 자동사와 타동사

영어의 자동사와 타동사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자동사와 타동사란 무엇인가? 자동사라는 것은 목적어를 취하지 않는 동사이다. 타동사라는 것은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이다. 근데 왜 이것이

eunjin123123.tistory.com

 

타동사 뒤에 오는 것이 목적어다.

주어 + 타동사 + 목적어 

위의 형태로 문장이 온다면, 목적에는 명사만이 올 수 있다.

 

그렇다면 동작을 목적어로 쓸 수 있을까?

->이 떄 쓰는 것이 준동사(to 부정사, 동명사 등)다.

 

I like sleep

->나는 잠을 자다를 좋아해(X)

 

I like to sleep

나는 잠을 자는 것을 좋아해.(O)

 

명사밖에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동작을 명사로 바꿔주는 것이다.

이러한 To나 ing등에 대해 다음에 더 배워보자.

반응형

'영어 > 영문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시제 - 완료  (0) 2022.11.01
10. 시제 -진행형  (0) 2022.10.31
9. 시제 -단순시제  (1) 2022.10.23
8. 수동태  (0) 2022.10.20
7. 문장의 형식 -5형식  (0) 2022.10.18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