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CreateThread()와 _beginthreadex()는 모두 Windows에서 새 스레드를 만드는 함수입니다.
하지만 이 둘은 내부적으로 완전히 다른 용도이며,
사용 대상, 메모리 관리, 안정성 면에서 차이가 뚜렷합니다.
아래에 단순 기능 나열이 아니라,
왜 두 개가 존재하는지, 언제 어떤 걸 써야 하는지,
그리고 뭘 잘못 쓰면 무슨 문제가 생기는지까지 설명드리겠습니다.
🔧 1. 기본 개념부터 — 둘 다 스레드를 만든다
함수 이름 역할
CreateThread() | Windows API에서 제공하는 원시(low-level) 스레드 생성 함수 |
_beginthreadex() | C 런타임 라이브러리(C Runtime, CRT)에서 제공하는 C/C++ 전용 스레드 생성 함수 |
🚨 2. 왜 둘 다 있어야 하냐?
이 질문이 핵심입니다.
대답은 명확합니다:
CreateThread()는 Windows OS 입장에서 “스레드를 하나 만들었다”는 관점.
_beginthreadex()는 C/C++ 런타임까지 포함해서 “C/C++에서 안전하게 쓸 수 있는 스레드”를 만드는 함수.
🧠 3. 뭐가 다르냐? (기술적으로)
✅ A. C 런타임 라이브러리(CRT) 초기화
- CreateThread()는 CRT에 아무 통보도 안 함.
즉, malloc, printf, errno, atexit 같은 C 함수들이 동작할 수 있게 해주는 구조 초기화가 안 됨. - _beginthreadex()는 스레드 내부에서 사용할 CRT 상태(예: errno, locale, static buffer) 를 준비함.
→ printf, strtok, new, delete, iostream 등 다 안전하게 사용 가능.
📌 즉, CreateThread() 안에서는 malloc/printf 쓰는 순간 프로그램이 죽을 수도 있음.
✅ B. 스레드 종료 시 자원 정리
- CreateThread()는 스레드 함수가 끝나면 OS 레벨로 리턴할 뿐,
C 런타임에 “나 종료함” 이라고 알리지 않음.
→ 그래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 가능. - _beginthreadex()는 끝날 때 endthreadex()를 호출해서
C 런타임이 사용한 리소스를 전부 반납함.
💣 4. 실전에서 CreateThread 잘못 쓰면 이런 일 생김
예시: CreateThread()로 만든 스레드 안에서 printf() 호출
DWORD WINAPI ThreadFunc(LPVOID p) {
printf("hello\n"); // CRT 상태 없이 실행하면 터질 수도 있음
return 0;
}
→ 이건 운 좋으면 돌아가고, 운 나쁘면 조용히 크래시 납니다.
특히 디버깅 어려운 프로그램일수록 랜덤하게 죽는 증상이 생깁니다.
이유는: CRT 내부 상태(static thread-local buffer 등)가 초기화되지 않았기 때문.
🧪 5. 사용법 차이
▶ CreateThread()
HANDLE h = CreateThread(
NULL, 0, ThreadFunc, NULL, 0, NULL);
함수는 다음 형태여야 함:
DWORD WINAPI ThreadFunc(LPVOID lpParam);
▶ _beginthreadex()
unsigned threadID;
HANDLE h = (HANDLE)_beginthreadex(
NULL, 0, ThreadFunc, NULL, 0, &threadID);
함수는 다음 형태여야 함:
unsigned __stdcall ThreadFunc(void* param);
🚨 함수 시그니처 다름 주의! DWORD vs unsigned, LPVOID vs void*
✅ 6. 요약 비교표
항목 CreateThread() _beginthreadex()
라이브러리 | Windows API | C/C++ CRT |
CRT 초기화 | ❌ 없음 | ✅ 있음 |
스레드 종료 시 정리 | ❌ 직접 해줘야 함 | ✅ 자동 정리 (endthreadex()) |
안전성 | ❌ CRT 함수 쓰면 위험 | ✅ 안전 |
리턴값 | HANDLE | uintptr_t (실제로는 HANDLE로 캐스팅 가능) |
함수 형태 | DWORD WINAPI | unsigned __stdcall |
🔨 언제 뭐 써야 되냐?
상황 써야 할 함수
C/C++ 프로그램, printf, malloc, new/delete 등 쓰면 | _beginthreadex() |
Win32 API만 사용하는 순수 Windows 프로그래밍 | CreateThread() 가능 |
성능보다 안정성이 중요함 | _beginthreadex() 추천 |
콘솔 프로그램, MFC, ATL 등 대부분의 C++ 앱 | 무조건 _beginthreadex() 써야 안전 |
🧾 마무리 요약
- CreateThread()는 Windows가 만든 낮은 수준의 스레드 생성 함수
- _beginthreadex()는 C/C++ 프로그램에서 안전하게 쓸 수 있게 만든 CRT 친화적 스레드 함수
- 스레드 안에서 malloc, printf, std::cout, new, delete 쓸 거면
→ 무조건 _beginthreadex() 써야 안전
반응형
'프로그래밍 > 시스템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I란 무엇인가? (0) | 2025.04.05 |
---|---|
__stdcall 이란? (0) | 2025.04.05 |
프로세스와 스레드 (0) | 2025.03.31 |
파이프 방식의 IPC (0) | 2025.03.27 |
프로세스, 핸들 테이블, 그리고 핸들 상속 (0) | 2025.03.26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인지부조화
- C/C++
- 사회심리학
- C
- 백준
- 회계
- K-MOOC
- 여인권
- 일문따
- 코딩테스트
- 정보처리기사
- 오블완
- 통계학
- 강화학습
- 윤성우
- jlpt
- 파이썬
- stl
- 뇌와행동의기초
- 류근관
- Python
- 열혈프로그래밍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데이터분석
- c++
- 인프런
- 티스토리챌린지
- 심리학
- 보세사
- 일본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