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자격증/회계

원가의 흐름

키성열 2025. 4. 9. 20:22
반응형

 

📘 원가의 흐름 (Cost Flow)이란 무엇인가?


✅ 1. 원가의 흐름이란?

원가의 흐름이란,
기업이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과정에서 들어간 비용
각 회계 계정을 어떤 순서로 거쳐서 흘러가는가를 말합니다.

이 흐름을 이해하면,

  • 재무제표에서 재고는 왜 자산인지
  • 매출원가는 어떤 과정을 통해 비용으로 되는지
  • 각 계정 간 대차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를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 2. 원가의 흐름을 왜 알아야 할까?

목적 설명

📊 정확한 손익 계산 매출원가를 제대로 계산해야 당기순이익이 정확하게 나옴
🧾 비용 통제와 분석 재료비, 노무비, 경비가 각각 어디서 발생하고 어디로 갔는지를 파악 가능
💡 생산 효율 판단 불필요한 소비나 손실 발생 여부 확인
📉 재고 자산평가 및 원가절감 공정별 원가를 분석해서 낭비요인을 제거할 수 있음

✅ 3. 원가의 기본 구성요소

원가의 흐름은 다음 세 가지 항목이 기본입니다.

 

항목  설명
재료비 원재료를 구입하거나 사용한 비용
노무비 작업자에게 지급하는 급여 등 인건비
경비 전기세, 감가상각비, 임차료 등 그 외 생산비용

✅ 4. 계정 흐름 전체 구조 (T계정 중심)

이제부터 원가가 회계상 어떻게 이동하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가장 많이 쓰이는 제조기업 기준의 원가 흐름입니다.


📌 (1) 재료계정

  • 차변:
    • 기초재고
    • 당기 매입
  • 대변:
    • 재료 소비량 (제품을 만들기 위해 사용됨)
    • 기말재고 (남은 것)

    "재료계정은 원재료 창고에 보관된 것들입니다.
    사서 쌓아놓고, 공장으로 가져가 쓰는 순간 대변에서 빠져나갑니다."


📌 (2) 노무비 / 경비 계정

  • 차변:
    • 발생한 금액 전체
  • 대변:
    • 제품을 위해 사용된 만큼제조간접비로 넘어감
    • 미지급금, 선급비용 등 조정

    "노무비는 단순 급여 계정이 아니라 ‘어디에 썼느냐’가 핵심입니다.
    공장에 썼으면 제조간접비로, 사무실이면 판매관리비로 나뉩니다."


📌 (3) 제조간접비 계정

  • 차변:
    • 노무비, 경비 중에서 직접 계산이 안 되는 항목들
  • 대변:
    • 배부된 금액제조간접비 배부계정으로 이동

📌 (4) 제조원가집계계정

  • 차변:
    •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 배부액
  • 대변:
    • 완성된 제품의 원가제품계정으로 이동

📌 (5) 제품계정

  • 차변:
    • 완성품 원가
  • 대변:
    • 판매된 제품 원가매출원가로 이동
    • 기말재고는 여전히 제품계정에 남음

📌 (6) 매출원가계정

  • 차변:
    • 제품이 팔렸을 때 그 원가만큼 들어옴
  • 대변:
    • 손익계산서로 넘어가며 비용 처리됨

✅ 5. 실제 예시로 풀어보기

예를 들어, A회사가 원재료 \50,000을 매입하고, 그 중 \40,000을 소비해 제품을 생산하고, 이 제품 중 \30,000만 판매한 경우

단계별 흐름:

  1. 재료계정
    • 차변: \50,000 (매입)
    • 대변: \40,000 (소비) → 제조원가로 이동
  2. 제조원가 집계
    • 차변: \40,000 (재료비)
    • 대변: \30,000 (완성품이 제품계정으로), \10,000은 아직 미완성품
  3. 제품계정
    • 차변: \30,000 (완성된 제품)
    • 대변: \30,000 (판매됨 → 매출원가로 이동)
  4. 매출원가계정
    • 차변: \30,000 (판매된 제품의 원가)
    • 대변: 손익계산서로 인식

✅ 6. 핵심 요약 도식 (글로 설명)

[재료계정]
   ↓ (재료소비)
[제조원가 집계계정]
   ↓ (제품 완성)
[제품계정]
   ↓ (제품 판매)
[매출원가]
   → 손익계산서 비용

✅ 7. 원가 흐름이 틀릴 경우 생기는 문제

 

오류 상황 결과
제품에 쓰지 않은 재료를 소비한 것처럼 처리 매출원가 과대 계상 → 순이익 과소
판매하지 않은 제품까지 매출원가로 처리 재고 과소평가, 이익 왜곡
제조간접비 배부 잘못 공정별 원가 왜곡 → 잘못된 의사결정 유발

✅ 결론

  • 원가의 흐름은 단순히 ‘돈을 어디에 썼는가’가 아니라,
    제품이 만들어지고 팔리기까지 각 단계별로 비용이 어떻게 이동하는가를 추적하는 회계의 핵심입니다.
  • 회계에서 정확한 재무제표, 손익 분석, 경영 판단 모두 이 흐름 위에 서 있습니다.

 

반응형

'자격증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금성자산, 유동자산 구별  (0) 2025.04.10
예정배부액과 실제배부액  (0) 2025.04.09
인도조건과 재고자산  (3) 2025.04.08
대손충당금과 대손상각비  (1) 2025.04.08
출금전표와 대체전표  (0) 2025.04.08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