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원가의 흐름 (Cost Flow)이란 무엇인가?
✅ 1. 원가의 흐름이란?
원가의 흐름이란,
기업이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과정에서 들어간 비용이
각 회계 계정을 어떤 순서로 거쳐서 흘러가는가를 말합니다.
이 흐름을 이해하면,
- 재무제표에서 재고는 왜 자산인지
- 매출원가는 어떤 과정을 통해 비용으로 되는지
- 각 계정 간 대차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를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 2. 원가의 흐름을 왜 알아야 할까?
목적 설명
📊 정확한 손익 계산 | 매출원가를 제대로 계산해야 당기순이익이 정확하게 나옴 |
🧾 비용 통제와 분석 | 재료비, 노무비, 경비가 각각 어디서 발생하고 어디로 갔는지를 파악 가능 |
💡 생산 효율 판단 | 불필요한 소비나 손실 발생 여부 확인 |
📉 재고 자산평가 및 원가절감 | 공정별 원가를 분석해서 낭비요인을 제거할 수 있음 |
✅ 3. 원가의 기본 구성요소
원가의 흐름은 다음 세 가지 항목이 기본입니다.
항목 | 설명 |
재료비 | 원재료를 구입하거나 사용한 비용 |
노무비 | 작업자에게 지급하는 급여 등 인건비 |
경비 | 전기세, 감가상각비, 임차료 등 그 외 생산비용 |
✅ 4. 계정 흐름 전체 구조 (T계정 중심)
이제부터 원가가 회계상 어떻게 이동하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가장 많이 쓰이는 제조기업 기준의 원가 흐름입니다.
📌 (1) 재료계정
- 차변:
- 기초재고
- 당기 매입
- 대변:
- 재료 소비량 (제품을 만들기 위해 사용됨)
- 기말재고 (남은 것)
"재료계정은 원재료 창고에 보관된 것들입니다.
사서 쌓아놓고, 공장으로 가져가 쓰는 순간 대변에서 빠져나갑니다."
📌 (2) 노무비 / 경비 계정
- 차변:
- 발생한 금액 전체
- 대변:
- 제품을 위해 사용된 만큼만 제조간접비로 넘어감
- 미지급금, 선급비용 등 조정
"노무비는 단순 급여 계정이 아니라 ‘어디에 썼느냐’가 핵심입니다.
공장에 썼으면 제조간접비로, 사무실이면 판매관리비로 나뉩니다."
📌 (3) 제조간접비 계정
- 차변:
- 노무비, 경비 중에서 직접 계산이 안 되는 항목들
- 대변:
- 배부된 금액이 제조간접비 배부계정으로 이동
📌 (4) 제조원가집계계정
- 차변:
-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 배부액
- 대변:
- 완성된 제품의 원가가 제품계정으로 이동
📌 (5) 제품계정
- 차변:
- 완성품 원가
- 대변:
- 판매된 제품 원가가 매출원가로 이동
- 기말재고는 여전히 제품계정에 남음
📌 (6) 매출원가계정
- 차변:
- 제품이 팔렸을 때 그 원가만큼 들어옴
- 대변:
- 손익계산서로 넘어가며 비용 처리됨
✅ 5. 실제 예시로 풀어보기
예를 들어, A회사가 원재료 \50,000을 매입하고, 그 중 \40,000을 소비해 제품을 생산하고, 이 제품 중 \30,000만 판매한 경우
단계별 흐름:
- 재료계정
- 차변: \50,000 (매입)
- 대변: \40,000 (소비) → 제조원가로 이동
- 제조원가 집계
- 차변: \40,000 (재료비)
- 대변: \30,000 (완성품이 제품계정으로), \10,000은 아직 미완성품
- 제품계정
- 차변: \30,000 (완성된 제품)
- 대변: \30,000 (판매됨 → 매출원가로 이동)
- 매출원가계정
- 차변: \30,000 (판매된 제품의 원가)
- 대변: 손익계산서로 인식
✅ 6. 핵심 요약 도식 (글로 설명)
[재료계정]
↓ (재료소비)
[제조원가 집계계정]
↓ (제품 완성)
[제품계정]
↓ (제품 판매)
[매출원가]
→ 손익계산서 비용
✅ 7. 원가 흐름이 틀릴 경우 생기는 문제
오류 상황 | 결과 |
제품에 쓰지 않은 재료를 소비한 것처럼 처리 | 매출원가 과대 계상 → 순이익 과소 |
판매하지 않은 제품까지 매출원가로 처리 | 재고 과소평가, 이익 왜곡 |
제조간접비 배부 잘못 | 공정별 원가 왜곡 → 잘못된 의사결정 유발 |
✅ 결론
- 원가의 흐름은 단순히 ‘돈을 어디에 썼는가’가 아니라,
제품이 만들어지고 팔리기까지 각 단계별로 비용이 어떻게 이동하는가를 추적하는 회계의 핵심입니다. - 회계에서 정확한 재무제표, 손익 분석, 경영 판단 모두 이 흐름 위에 서 있습니다.
반응형
'자격증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금성자산, 유동자산 구별 (0) | 2025.04.10 |
---|---|
예정배부액과 실제배부액 (0) | 2025.04.09 |
인도조건과 재고자산 (3) | 2025.04.08 |
대손충당금과 대손상각비 (1) | 2025.04.08 |
출금전표와 대체전표 (0) | 2025.04.08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데이터분석
- 보세사
- 류근관
- 일문따
- 열혈프로그래밍
- 인지부조화
- 뇌와행동의기초
- C/C++
- 파이썬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c++
- 백준
- 인프런
- C
- 정보처리기사
- 통계
- 통계학
- 회계
- 강화학습
- 사회심리학
- stl
- 윤성우
- 심리학
- 여인권
- Python
- 일본어
- 오블완
- 코딩테스트
- 티스토리챌린지
- K-MOOC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