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결합(Linear Combination) 🚀 1. 선형결합이란?💡 "벡터를 조합해서 새로운 벡터를 만드는 법!"우리는 지금까지 벡터가 방향과 크기를 가지는 화살표라는 걸 배웠어.그런데 벡터를 여러 개 합쳐서 새로운 벡터를 만들 수도 있어!이걸 **선형결합(Linear Combination)**이라고 해.선형결합의 핵심:c1v1+c2v2+...+cnvn=새로운 벡터c_1\mathbf{v}_1 + c_2\mathbf{v}_2 + ... + c_n\mathbf{v}_n = \text{새로운 벡터}여기서✅ v1,v2,...\mathbf{v}_1, \mathbf{v}_2, ... → 벡터✅ c1,c2,...c_1, c_2, ... → 숫자(스칼라)즉, 벡터들을 적당한 숫자로 곱해서 더하면 새로운 벡터를 만..
직관적 이해 (비유 & 감각적 접근) 🔹 1. 벡터란?🎯 벡터가 있으면 길을 찾을 수 있지만, 없으면 길을 잃는다!🌍 상황 1: 친구 집 찾아가기너희가 친구 집에 놀러 가기로 했다. 그런데 친구가 **"우리 집은 3km 거리에 있어"**라고만 말해줬다.이걸 듣고 너희는 "어디로 3km?? 북쪽? 남쪽? 오른쪽? 왼쪽?" 하면서 길을 잃을 것이다.✅ 이게 바로 ‘스칼라’만 있을 때의 문제야."거리(크기)만 있고, 방향이 없으니까 어디로 가야 할지 모르는 것!"🎯 그런데 만약 친구가 이렇게 말해줬다면?"우리 집은 동쪽으로 3km 가면 돼!"이제야 길을 찾을 수 있다!✅ 이제 ‘방향’이 생겼지? 이것이 바로 ‘벡터’다!벡터는 크기(얼마나 가야 하는지)와 방향(어느 쪽으로 가야 하는지)이 함께 있는 개념..
1️⃣ 이론적 배경: 『후견편향(Hindsight Bias)』이란 무엇인가?✅ 후견편향의 정의 및 예시후견편향은 어떤 사건의 결과를 알고 난 후, 마치 처음부터 그 결과를 예측할 수 있었던 것처럼 과거를 왜곡하여 기억하고 평가하는 심리적 현상입니다. 쉽게 말해 결과를 안 뒤, 마치 자신이 처음부터 그 결과를 정확히 알고 있었던 것처럼 착각하는 것입니다.일상에서 흔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예시: 친구와 축구경기를 보다가 경기가 끝난 후,"역시 내가 생각했던 대로 이 팀이 이길 줄 알았어!" 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하지만 실제로 경기를 보는 동안에는 승리를 장담하지 못했죠. 결과를 알고 난 뒤에만 그렇게 착각하게 된 겁니다. 이런 현상이 바로 후견편향입니다.이 현상은 우리가 이미 결과를 알고 난 ..
Q. 왜 상관계수가 높은 문항을 제거하지 않고 하나로 묶는가? 📌 1️⃣ 여러 문항을 질문하는 이유탐색적 요인분석에서 문항들을 그룹화하는 이유는, 같은 요인을 측정하는 다양한 문항을 사용하여 측정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1. 단일 문항은 신뢰성이 낮다.예를 들어, 학업 성실성을 "나는 수업을 결석하지 않는다." 한 문항으로만 측정하면,학생들이 정확히 동일한 기준으로 답할지 확신할 수 없음설문자가 문항을 오해할 가능성이 있음하루 이틀 정도 결석했지만, 전반적으로 성실한 학생이 있을 수 있음따라서, 동일한 요인을 측정하는 여러 문항을 포함하면, 측정 오류를 줄일 수 있음✅ 2. 다차원적 개념을 포괄적으로 측정학업 성실성을 측정할 때, 출석만으로 평가하면 부족할 수 있음예를 들어, 아래 3개의 문..
1️⃣ 기본 개념 및 직관적 이해 (정수형 숫자 예제 포함)✅ 예제 적용: 연구자는 대학생들의 학습 태도를 측정하는 설문지를 만들었지만, 문항들이 몇 개의 요인으로 나뉘는지 모른다.📌 1. 탐색적 요인분석(EFA)이란 무엇인가? (정수형 숫자 예제 포함)탐색적 요인분석(EFA, Exploratory Factor Analysis)은 여러 개의 변수(예: 설문 문항, 측정 항목 등)들이 몇 개의 공통된 요인(factor)으로 묶일 수 있는지 탐색하는 통계 기법입니다.✅ 핵심 개념변수들 간의 상관관계(Correlation)를 분석하여 숨겨진 요인을 찾는 과정특정 요인이 전체 데이터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것이 목적✅ 예제 적용 (정수형 숫자 포함)연구자가 대학생들의 학습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5개의 설문 ..
우리는 왜 어떤 목표를 세우는가?접근 vs. 회피 동기, 성격이 우리의 목표 설정 방식에 미치는 영향사람들은 같은 목표를 두고도 다르게 접근합니다. 예를 들어, 시험을 준비하는 두 학생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학생 A: "이번 시험에서 좋은 점수를 받고 싶어!"학생 B: "이번 시험에서 낮은 점수를 받으면 안 돼!"이 두 학생은 같은 시험을 앞두고 있음에도 목표를 설정하는 방식이 다릅니다.한 사람은 *무언가를 얻기 위해 노력(접근 동기)*하고, 다른 한 사람은 *실패를 피하려고 노력(회피 동기)*합니다.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이런 차이를 보이는 걸까요?이것은 단순한 습관이나 개인적인 경험 때문이 아니라, 성격(Personality)의 차이에서 비롯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심리학 연구자들의 가설이었습니다...
왜 우리는 반대 의견을 거부하는가?1. 우리는 왜 반대 의견을 듣기 싫어할까?우리는 종종 뉴스나 인터넷에서 내 생각과 반대되는 의견을 접하면 불쾌한 감정이 듭니다.정치, 환경, 백신, 경제 등 어떤 주제든 "이건 틀렸어!"라고 확신하면서 반대 의견을 무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예를 들어,채식주의자가 “고기가 건강에 더 좋다”는 기사를 보면 불쾌감을 느낍니다.보수적인 사람이 진보 성향의 뉴스를 보면 “이건 편향된 기사야”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높습니다.백신을 지지하는 사람이 백신을 반대하는 의견을 들으면 “음모론이야”라고 단정 짓습니다.그렇다면, 우리는 왜 자신의 생각과 반대되는 의견을 불편하게 여기고,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걸까요?2. 기존 이론: 반대 의견을 들으면 ‘불안’을 느끼기 때문일까? (기존 연..
1편: 연구 배경 및 윤리적 부조화란?윤리적 부조화란 무엇인가?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을 도덕적이고 정직한 존재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부정행위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직장에서 허위 보고서를 제출하거나 시험에서 컨닝을 하거나, 세금 신고에서 일부 수입을 누락하는 일이 있습니다. 이런 행동을 하면서도 사람들은 스스로를 "나쁜 사람"이라고 여기지 않습니다.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도덕적 기준을 어기면서도 여전히 자신을 도덕적이라고 생각할까요? 이에 대한 답이 바로 윤리적 부조화(ethical dissonance) 입니다. 윤리적 부조화란, 자신의 도덕적 가치관과 실제 행동이 충돌할 때 느끼는 심리적 불편함을 뜻합니다. 사람들이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심리적 정당화 과..
- Total
- Today
- Yesterday
- C
- 류근관
- 인프런
- 데이터분석
- 심리학
- 통계
- 회계
- 정보처리기사
- C/C++
- 여인권
- 통계학
- K-MOOC
- stl
- 뇌와행동의기초
- Python
- 티스토리챌린지
- 파이썬
- c++
- 윤성우
- 강화학습
- 일문따
- 백준
- 일본어
- 사회심리학
- 오블완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인지부조화
- 코딩테스트
- 보세사
- 열혈프로그래밍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