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미신 행동: ‘강화’가 만들어낸 우연의 반복



✅ 정의

🔹 정의

미신 행동(superstitious behavior)이란,
어떤 행동이 실제로 결과(보상)와 관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우연히 결과 직전에 일어났다는 이유만으로 반복되는 행동
이것은 결과와 행동 사이의 착각된 연결에 의해 발생합니다.


🔹 설명 (예시)

예를 들어,
  • 어떤 학생이 시험을 잘 본 날 입은 옷을 계속 입으려 한다면?
  • 축구 선수가 지난 경기에서 이긴 날 먹었던 음식을 계속 먹으려 한다면?
이 행동들은 시험 성적이나 경기 승리와 직접적 연관이 없지만,
우연히 맞물렸던 경험 때문에 반복되는 행동, 즉 미신 행동입니다.


반응형

 


🧪 실험

🔸 연구 배경

심리학자 B. F. Skinner는 1948년,
“강화가 반드시 논리적인 원인 행동만을 강화하는가?”라는 질문을 가지고
동물 실험을 고안했습니다. 기존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에서는
행동 → 강화 → 행동 증가
라는 관계가 성립합니다.

하지만 그는 다음과 같은 상황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만약 아무 행동도 하지 않았는데도 보상이 주어진다면,
동물은 어떤 행동을 학습하게 될까?”



🔸 실험 절차

  • 8마리의 비둘기를 각각의 상자에 넣고,
  • 15초마다 자동으로 먹이를 주도록 설정했습니다.
  • 중요한 점은, 비둘기의 행동과는 무관하게 보상이 주어졌다는 것입니다.

실험 절차 요약

  1. 비둘기를 개별 상자에 배치
  2. 타이머에 따라 15초마다 자동으로 먹이 투입
  3. 행동은 전혀 요구되지 않음
  4. 비둘기의 행동을 관찰 및 기록



📊 실험 결과

🔹 설명

실험이 진행될수록, 각 비둘기들은 특정한 행동을 반복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행동들은 먹이를 얻기 위해 필요한 것도,
실제로 먹이를 불러오는 것도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비둘기들은 마치
“내가 이 행동을 했더니 먹이가 나왔다”고 믿는 것처럼
같은 행동을 계속 반복했습니다.

📋 표: 비둘기별 반복된 행동 예시

비둘기 반복된 행동 방식
A 반시계 방향으로 돌기
B 바닥을 반복적으로 쪼기
C 머리를 위쪽 구석에 찌르기
D 머리를 위로 툭툭 던지기
E, F 몸을 좌우로 흔들기




반응형

 


🌟 의의

스키너의 실험은 단지 동물의 특이한 행동을 관찰한 것이 아니라,
‘강화’가 얼마나 비논리적인 행동까지 학습시킬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강력한 사례입니다.


🔹 1. 학습은 반드시 논리적이지 않다

  • 비둘기들의 행동은 결과와 아무 관련이 없었음에도,
  • 우연히 결과 직전에 발생했다는 이유만으로 강화되었습니다.
이로써 학습이 때로는 인과성이 결여된 행동까지 반복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 2. 인간에게도 동일한 미신 행동이 나타난다

📍 Matute 실험 (1994, 1995)

  • 대학생들에게 불쾌한 소리를 끄기 위한 키보드 조작 과제를 부여
  • 실제로는 아무 키도 소리에 영향을 주지 않았음
  • 그러나 많은 참가자들이 특정 키 조합을 ‘정답’이라 믿고 반복
🧠 이 실험은 사람 역시 행동과 결과 사이의 착각을 통해 미신 행동을 학습함을 입증합니다.


🔹 3. 스포츠 영역에서도 나타나는 미신

📍 연구: Bleak & Frederick (1998), Wann et al. (2013)

사례 반복되는 미신 행동
농구선수 매 경기 같은 양말을 신기
축구팬 이긴 날과 같은 음식 먹기
야구선수 타석 전 특정 발동작 반복




🔹 4. 진화적 해석: 우연한 회피도 생존에 유리

예: “이 음식 먹고 배탈 났어” → 우연일 수 있지만 피하는 게 안전함
진화적으로, 원인을 정확히 분석하기보다 ‘안전한 방향으로 과잉 반응’하는 편이
생존 확률을 높였기 때문에,
이러한 보수적인 학습 경향이 강화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5. 반론 실험: 본능적 행동일 뿐일 수도?

📍 Staddon & Simmelhag 실험 (1971)

  • 스키너의 실험을 정밀 재현
  • 비둘기의 행동을 시간 순서대로 분석

결과:

  • 먹이 직전엔 고정된 반응(머리 돌리기, 쪼기) → terminal behavior
  • 그 외 시간엔 다양한 동작 → interim behavior
📌 이들은 스키너의 해석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이건 우연한 강화 때문이 아니라, 먹이를 기대하는 본능적 행동일 수 있다.”



🔹 6. 사회적 미신도 있다

강화 없이도 반복되는 미신 행동은 문화와 언어를 통해 전승되기도 합니다.
사회적 미신 설명
사다리 밑 지나가지 말기 불길하다는 전통적 믿음
숫자 13 피하기 서양 문화권에서 ‘불운한 숫자’로 간주
시험 전에 미역국 금지 ‘미끄러진다’는 발음 연상 때문에 피함




반응형

 


✅ 최종 요약

항목 내용
주제 미신 행동 (Superstitious Behavior)
핵심 개념 결과와 실제 관계없는 행동이 우연히 강화되어 반복되는 현상
대표 실험 스키너의 비둘기 자동 강화 실험 (1948)
인간 사례 Matute의 키보드 실험, 스포츠 루틴
진화적 해석 우연한 원인이라도 회피하는 쪽이 생존에 유리
반론 행동은 우연한 강화가 아닌 본능일 수 있음 (Staddon & Simmelhag)
문화적 미신 사회적 전통으로 학습되는 비강화 기반의 미신




📌 한 줄 요약

우리의 행동 중 일부는, 효과가 없는데도 반복된다 — 그것은 우연히 강화되었거나, 사회적으로 학습된 미신 행동일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