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Chapter 4 전체 요약: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과 연구

📘 Chapter 4 전체 요약: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과 연구

🧠 1. 고전적 조건형성에 대한 주요 질문

이 장은 고전적 조건형성(classical conditioning)에 대한 심도 깊은 이론과 실험을 다룹니다.
크게 네 가지 주제로 나뉘며, 각각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하고자 합니다:

  1. 조건형성은 언제, 어떤 조건에서 일어나는가?
  2. 뇌는 어떻게 조건형성에 반응하는가?
  3. 생물학적 특성(유전 등)이 조건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4. 조건반응(CR)은 어떤 형태를 띠는가? UR과 같은가, 반대인가, 아니면 전혀 다른가?



🔬 2. 조건형성 이론 ①: 연합 학습의 기본 원리

  • 빈도 원칙(frequency principle): 자극 A와 B가 많이 짝지어지면, 더 강하게 연합된다.
  • Kamin(1968)의 차단 효과(blocking effect): 이미 조건화된 자극이 있으면 새로운 자극이 학습되지 않음.
  • 이를 설명하기 위해 Rescorla-Wagner 모델이 제안됨.

 

2025.05.12 - [심리학/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 고전적 조건화에서 차단효과(Blocking Effect)란?

 

고전적 조건화에서 차단효과(Blocking Effect)란?

✅ Blocking Effect – 개념 및 실험 요약 정리 (도식 포함)🧠 정의: Blocking Effect란?이미 학습된 자극이 무조건 자극을 예측하고 있을 때,새로운 자극이 동일한 무조건 자극과 함께 제시되더라도,그

eunjin123123.tistory.com



⚙️ 3. 조건형성 이론 ②: Rescorla-Wagner 모델

  • 핵심 아이디어: 예상치와 실제 US의 차이가 클수록 학습이 잘 된다.
  • 수식처럼 정량적으로 설명 가능.
  • 다양한 효과 설명 가능:
    • 습득(acquisition)
    • 소거(extinction)
    • 차단(blocking)
    • 조건 억제(conditioned inhibition)
    • 과잉기대(overexpectation)
  • 단점: 사전 노출 효과 등은 설명하지 못함

 

2025.05.12 - [심리학/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 고전적 조건형성: Rescorla-Wagner 모델 분석!

 

고전적 조건형성: Rescorla-Wagner 모델 분석!

📘 Rescorla-Wagner 모델: 예측과 놀람으로 배우는 뇌의 원리1. 들어가며: 우리는 어떻게 배우는가?사람은 반복적인 경험 속에서 규칙을 찾고, 예상하며, 배우는 존재입니다.그런데 뇌는 단순히 “같

eunjin123123.tistory.com




👀 4. 조건형성 이론 ③: 주의(attention) 이론

  • 대표 이론가: Mackintosh (1975), Pearce & Hall (1980)
  • 핵심: 유기체는 중요한 CS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인다.
  • 주의가 가지 않는 CS는 조건형성이 어려움.



⚖️ 5. 조건형성 이론 ④: 비교자 이론(comparator theories)

  • 유기체는 단순히 CS–US 연합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 다른 자극들과 비교하여 더 나은 예측자인 경우에만 반응함.

 

2025.05.15 - [심리학/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 고전적 조건화:Comparator Theory 란?

 

고전적 조건화:Comparator Theory 란?

✅ 1. 이 이론이 주장하는 바는 무엇인가?Comparator Theory는 고전적 조건형성(classical conditioning)에서 조건자극(CS)과 무조건자극(US) 간의 연합이 형성되었더라도, 행동(조건반응, CR)이 나타날지는 CS

eunjin123123.tistory.com

 



🧬 6. 뇌과학 관점: 고전적 조건형성과 신경 메커니즘

  • Aplysia(해삼과 동물)의 아가미 반사 실험을 통해 신경 수준에서 조건형성 규명.
  • 인간과 포유류에서도 다양한 뇌 영역이 CR 생성에 관여함.

2025.05.16 - [심리학/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 고전적 조건화:생물학적 준비성과 동등성 가정!

 

고전적 조건화:생물학적 준비성과 동등성 가정!

🧠 생물학적 준비성: 학습은 누구에게나, 무엇이든, 똑같이 일어날까?1️⃣ 서론: 학습은 자극에 관계없이 일어나는가?20세기 중반까지 대부분의 심리학자들은 학습이 일정한 일반 법칙에 따라

eunjin123123.tistory.com




🧬 7. 생물학적 제약: 유전과 조건형성의 상호작용

  • 일부 조건형성은 생물학적으로 더 쉽게 학습됨
  • 가르시아(Garcia)의 미각혐오 학습(taste-aversion learning):
    • 수 시간 후에도 조건형성이 일어남
    • 고전적 이론과 어긋남 → 생물학적 준비성(preparedness) 존재

2025.05.16 - [심리학/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 맛혐오의 근접성 원리는 깨졌을까? 고전적 조건화!

 

맛혐오의 근접성 원리는 깨졌을까? 고전적 조건화!

🍲 맛-혐오 학습, 근접성 원리를 무너뜨렸나?― 보편 학습 법칙의 시간 척도 확장1. 보편 학습 원리 소개: 근접성(contiguity)근접성 원리란,“조건자극(CS)”과 “무조건자극(US)”은 시간적으로 가

eunjin123123.tistory.com

 




💊 8. 조건반응의 형태: CR은 UR과 같을까?

  • Pavlov: CR = UR (예: 종소리 → 침)
  • 그러나 현실은 더 복잡함:
    • 같은 경우도 있고
    • 반대(반사작용)인 경우도 있고
    • 전혀 다른 경우도 있음

2025.05.19 - [심리학/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 고전적 조건화: CR은 UR과 같은 방향으로 일어날까? 보상적 CR과 내성!

 

고전적 조건화: CR은 UR과 같은 방향으로 일어날까? 보상적 CR과 내성!

🧠 CR은 UR과 같은 방향으로 일어날까? 보상적 CR과 내성!✅ – Shepard Siegel의 조건형성 실험 완전 해설 🪧 서론 – 마약 내성, 몸의 적응일까? 뇌의 예측일까?“마약이나 진통제는 반복해서 쓰면

eunjin123123.tistory.com



💥 9. 조건된 보정 반응(compensatory CR)과 중독

  • 약물 관련 환경 자극(CS)이 약물의 효과를 상쇄하는 반응(b-process)을 유발 → 내성
  • 약물이 없어도 CS만으로 금단 증상 유발재발 위험

2025.05.19 - [심리학/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 고전적조건화: 약물의 내성과 보상적 조건반응!

 

고전적조건화: 약물의 내성과 보상적 조건반응!

🔷 사람도 ‘학습된 내성’을 겪을까? – 조건화 이론으로 본 약물 반응✅ 1. 서론: 내성은 ‘학습된 반응’일 수 있습니다약물 내성(tolerance)은 일반적으로 반복 사용에 따라 약물 효과가 감소

eunjin123123.tistory.com

2025.05.19 - [심리학/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 약물 갈망과 조건형성: 뇌는 어떻게 중독을 기억할까? 고전적조건화!

 

약물 갈망과 조건형성: 뇌는 어떻게 중독을 기억할까? 고전적조건화!

💊 약물 갈망과 조건형성: 뇌는 어떻게 중독을 기억할까? 💭1. 약물 갈망과 금단 증상이란?우리는 약물이 없어도, 특정한 장소나 시간이 되면 갑자기 “담배가 피고 싶다”, “술 생각이 난다”

eunjin123123.tistory.com



🔁 10. Conditioned Opponent Theory (Schull, 1979)

  • Solomon & Corbit: b-process는 비연합적(nonassociative) 증가
  • Schull: 이 과정을 조건형성으로 설명
    • CS가 b-process 자체를 유발하도록 학습됨
    • 중독 유지 및 재발 원인 설명 가능



🔁 11. SOP 이론 (Wagner, 1981)

  • Sometimes Opponent Process theory
  • UR의 특성에 따라 CR 형태가 달라짐:
    • UR이 biphasic이면 → CR은 UR과 반대
    • UR이 monophasic이면 → CR은 UR과 동일

2025.05.20 - [심리학/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 SOP 이론은 어떻게 Conditioned Opponent Theory를 일반화했는가?

 

SOP 이론은 어떻게 Conditioned Opponent Theory를 일반화했는가?

🧠 SOP 이론은 어떻게 Conditioned Opponent Theory를 일반화했는가?🔷 1. Schull의 Conditioned Opponent Theory: 강력하지만 특수한 설명심리학에서 "조건형성"이라고 하면 보통 파블로프의 개를 떠올립니다.종

eunjin123123.tistory.com




🔍 12. 관련 실험 (CR의 형태 예측 검증)

  • Albert, Ricker, Bevins, & Ayres (1993): 토끼 심박수 실험 → biphasic UR → CR은 반대
  • McNally & Westbrook (2006): eyeblink 반사 실험 → monophasic UR → CR은 동일



📝 총정리

Chapter 4는 고전적 조건형성에 대한 이론적 다양성실험적 검증,
뇌과학적 및 생물학적 관점을 총망라합니다.

조건형성은 단순한 자극–반응의 기계적 연결이 아니라,
예측성, 주의, 생물학적 준비성, 신경 메커니즘 등 다양한 요소들이 결합된 복합적 학습 현상임을 강조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