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형식이 주어와 자동사를 쓰는 것이라면, 2형식은 간단히 말하면 주어와 2형식 동사를 쓰는 것을 말한다. 2형식 동사란 무엇인가? 네이버 사전에 look을 쳐보면 자동사와 타동사 외에 linking verb(연결 동사)라는 것이 나온다. 이게 무엇인지 간단하게 말하면 타동사는 아니지만, 목적어가 아닌 보어의 연결성을 갖고 있는 동사를 말한다. I like you라고 하면, like는 '~을 좋아해'라는 말이며, ~을에 대한 연결성이 남아있기에 '너'라는 말을 채워 나는 너를 사랑해가 되야한다. 그러나 linking verb는 ~가, ~이다 처럼 주어를 설명하는 내용을 연결성으로 취한다. 대표적인 linking verb인 be동사를 보면, I am a student 나는 ~이다. 학생 즉, '~이다' 에서..
자소서에 대한 잡다한 나의 생각을 적어보려고 한다. 요새 자소서를 쓰는 능력은 거의 필수가 되어가는데, 제대로 글을 쓰는 것은 쉽지않다. 나 또한 처음에는 자소서라는 게 뭐지? 지원동기? 그냥 돈 벌려고 하는 거 아니야? 장점? 딱히 없는데... 단점은 너무 많아 뭐 이런식으로 생각을 했었다. 그래서 처음 자소서를 쓰는 사람을 위한 팁을 한 번 적어보려고 한다. 이 자소서는 입시나 진학에 관련된 것이고, 본인은 취업을 해본적이 없기에 그 부분에 도움은 안 될수도 있지만, 골격은 비슷할 것이다. 아마도 자기소개서란? 말 그대로 자기를 소개하는 글이다. 근본적인 물음인 '내가 누구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쓰는 것이다. 내가 누구인지를 상대에게 잘 알려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는 데에..

Promotion or Prevention Messaging?: A Field Study on What Works When You Still Have to Work Marta Anna Roczniewska1* and E. Tory Higgins2 Sunday trade ban in Poland :폴란드에서 노동자를 쉬게하려고 일요일에 거래를 못하게 하는 법 이 법에서 몇 가지 노동자 부류가 생긴다 1) 예전에는 일했지만, 법으로 인해 지금 쉬는 노동자 2) 예전에도 일했고, 지금도 일하고 있는 노동자 2)번의 노동자는 non-gain 상태가 된다. 예전에도 일했고 지금도 일해서 차이가 없어보이지만, 실제로는 불공정성을 지각하게 될 것이다. 이 non-gain condition에서는 promtion foc..

공부교재:SQLD 자격검정 실전문제(일명 노랭이) 공부기간:3주 일주일에 2일, 1~2시간씩 공부를 한 것같다 무료로 코드잇 1달 자유이용권을 얻었는데, 이거로 거기에 있는 sql 강의를 조금 봤는데, 데이터 모델링에 대한 개념을 잘 설명해줘서 한번 가볍게 들어서 이해가 많이갔다. 그리고 기초적인 sql 설명을 듣긴했는데, 실습을 따라하지 않아서 잘 몰랐다. 원래 나의 공부방법은 그냥 이론X, 무조건 기출만 돌리자였는데, 이 시험은 기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있는 것이 없어서 이 노랭이라는 책을 구매해서 풀었다. 노랭이에 있는 문제가 꽤나 중복돼서 나왔다. 그리고 유투브에 기출풀이가 있는데, 이 영상은 노랭이에 나오는 문제를 많이 알려줬는데, 여기랑 토씨 안 틀리고 나온 문제가 많아서 이번에 간신히 붙었..

How to Seem telepathic :Enabling mind reading by matching construal Tal Eyal and Nicholas Epley Ben-Gurion University and University of Chicaco Abstract 사람들은 자신에 대해서는 낮은 수준의 분석을 하고 타인에게는 높은 수준의 분석을 한다. 낮은 수준의 분석이라함은 자기를 분석할 때는 자세히, 세부적 사항을 보고 타인을 볼 때는 큰 그림, 대충 본다는 것이다. 이렇기 때문에 타인이 자신을 어떻게 평가할지를 고려할 떄는 높은 수준으로 봐야하며, 타인이 자신을 추론할 때는 낮은 수준으로 봐야 한다. 이 수준을 맞추면 타인을 평가할 때 정확성을 올릴 수 있다. 본문 사람들은 타인이 자신을 어..
영어를 '한국'에서 가르칠 때 하는 것이 문장의 형식이다. 아마 미국인에게 가서 'Do you know 5형식?' 하면 모를 수도 있다. 그럼에도 한국에서 대중적으로 쓰이고 기초적으로 영어를 배우는 데 도움이 되는 면이 있다고 한다. 그렇기에 이를 맹신하지 않으면서, 한국의 5형식을 한 번 배워보자. 1형식이라는 것은, '주어 + 자동사'로 구성된 문장을 말한다. 앞선 파트에서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분에 대해 설명을 했다. https://eunjin123123.tistory.com/488 즉, 자동사라는 것은 목적어를 가질 연결성이 없는 동사이다. 연결성이 없기에 바로 목적어를 취할 수 없다. ex) I go school (X) -> 나는 학교 가다. I go to school (O) -> 나는 학교에 가..

영어의 자동사와 타동사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자동사와 타동사란 무엇인가? 자동사라는 것은 목적어를 취하지 않는 동사이다. 타동사라는 것은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이다. 근데 왜 이것이 영어에서 중요할까? 한국어에는 조사라는 것이 있어서 문장 성분을 이어주지만, 영어에는 조사라는 것이 없다. 동사와 목적어를 이어주려면, 동사에 내재된 연결성이 중요하다. 연결성이 있는 동사가 바로 타동사다. 그림으로 타동사를 보자. 연결성이 있는 동사, 즉 타동사는 바로 목적어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ove라는 동사가 있으면, 이는 그냥 '사랑하다.'가 아니라 '~을 사랑하다'로 외워야 한다는 것이다. 즉 바로 뒤에 목적어(누구를 사랑하는지)가 나올 수가 있다. 그렇다면 자동사는 연결성이 없는 동사라고 할 수 있다...
A. must나 must not을 어떠한 공식적인 규칙이나 규제, 경고에 쓰인다. 구어체에서는 구체적인 계획없이 미래에 일어날 일에 쓴다. We must get together more often 우리 자신에게 말할 때는 뭔가를 상기시켜줄 떄 쓴다. I must charge my phone B. 결론을 내릴 때 쓴다. 과거 must have p.p 현재 일어나는 일 must be ~ing 미래에 일어날 일 must be going to or must be -iing 현재 must be or have (got) to be Their goalkeeper has got to be at least two metres tall! must've (got) to는 안쓴다. must've had to를 쓴다 C. 부정..
- Total
- Today
- Yesterday
- 회계
- 보세사
- 일문따
- 통계학
- 오블완
- K-MOOC
- 정보처리기사
- 백준
- 코딩테스트
- 일본어
- 사회심리학
- 데이터분석
- Python
- C/C++
- 인지부조화
- c++
- 윤성우
- stl
- 인프런
- 여인권
- 심리학
- C
- 통계
- 뇌와행동의기초
- 파이썬
- 류근관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강화학습
- 티스토리챌린지
- 열혈프로그래밍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